본문 바로가기

건강

관절염 단계에 따른 운동과 처방

반응형


1단계: 초기(연골 손상 미미, 증상 거의 없음)

특징: 연골이 약간 닳아 있지만 통증은 거의 없고, 단순한 뻣뻣함만 느낄 수 있음.

권장 운동
가벼운 유산소 운동: 걷기, 고정식 자전거, 수영

관절 가동 범위 운동: 가볍게 무릎, 어깨, 손목 돌리기


치료/관리
체중 관리, 항염증 식단(오메가-3, 채소), 관절 무리 주지 않기

보조적으로 글루코사민·콘드로이친 등 영양제 섭취 고려


2단계: 경도(연골 손상 확대, 가벼운 통증)

특징: 관절 움직일 때 가끔 통증이나 뻣뻣함이 있음. 장시간 활동 후 붓기 발생 가능.

권장 운동
근력 운동: 허벅지·둔근 강화(스쿼트 대신 벽에 기대어 앉기, 밴드 운동)

저강도 스트레칭: 요가, 필라테스의 가벼운 동작


치료/관리
필요 시 진통소염제(의사 처방), 온찜질로 혈류 개선

정형외과 정기 진단, 물리치료 병행


3단계: 중등도(연골 손상 뚜렷, 통증·운동 제한)

특징: 계단 오르내릴 때, 오래 걸을 때 통증 심해짐. 관절 부종·소리(마찰음) 동반.

권장 운동
수중 운동: 물속 걷기, 아쿠아로빅 (체중 부하 줄여줌)

저충격 근력 운동: 의자에 앉아 무릎 펴기, 고무밴드로 다리·팔 운동


치료/관리
약물치료: 진통소염제, 히알루론산 주사

보조기 착용(무릎 보호대), 생활 패턴 조절 (무리한 활동 피하기)


4단계: 말기(연골 거의 소실, 관절 틀어짐)

특징: 휴식 중에도 통증, 관절 변형·심한 붓기, 일상생활 제한 심각

권장 운동
관절 부담 최소 운동: 가벼운 스트레칭, 수중 재활, 관절 가동 범위 운동만 유지

무릎 굽히기, 점프, 등산 등 고강도 운동은 피해야 함

치료/관리
약물 + 주사 치료 병행

증상 심하면 인공관절 치환술(수술) 고려

재활치료 및 체중 감량 필수


✅ 정리:

1~2단계에서는 운동과 생활습관 개선이 관절을 지키는 핵심

3단계에서는 저충격 운동 + 의학적 치료 병행

4단계에서는 수술 포함 전문 치료가 필요



반응형